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문자열
- HashMap
- BFS
- 브루트포스
- Java
- 새벽코딩
- SQL
- Queue
- 빅데이터
- 구현
- 프로그래머스
- 백트래킹
- Python
- 스택
- 시뮬레이션
- 탐색
- 다리 만들기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Stack
- 아스키코드
- BufferedReader
- 백준
- DP
- 배열
- oracle
- 완전탐색
- 알고리즘
- LIS
- 그리디
- dfs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17)
새벽코딩

흠,, 데이터베이스는 우리 주변에서 심심치 않게(?) 아니 매일 접하는 그냥 개발에 있어서 핵심 포인트라고 생각한다. 데이터베이스는 간단히 말해 어떠한 조직또는 시스템에서 여러사람들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저장된 데이터의 집합체이다. 데이터베이스가 지닌 특성중 중요한 것은 중복을 최소화해야하며 일관성을 유지해야한다는 것이다. 1. 중복의 최소화 2. 데이터의 일관성 유지 데이터베이스의 특성에는 총 4가지가 있다. 1. 실시간 접근성(real-time accessibility) 2. 계속적인 변화(continuous evolution) 3. 동시 공유(concurrent sharing) 4. 내용에 의한 참조(content reference) [한줄로 말하면] 데이터베이스는 실시간으로 항상 변화하며 여..

오늘 회사에서 대용량 데이터들에 대해서 수정을 해야하는 일이 생겼다. 수백개의 데이터를 하나씩 수정하기에는 너무 귀찮았기 때문에 PL/SQL을 이용해서 UPATE문을 반복해서 사용해볼 생각이었다. TEST001 테이블에는 연도, 차수, 대분류코드, 중분류코드, 소분류코드, 일련번호, 조직코드등등 많은 컬럼이 존재한다. 이때 일련번호 컬럼의 값이 0으로 저장되어있는 행의 조직코드를 전부 변경해줘야했었다. 행의 개수가 수백개 이상이기 때문에 일일이 바꿔주기에는 시간이 많이 걸리고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생각을 했다. 이 데이터의 값을 한번에 바꿔주기위해서 먼저 해당 테이블의 데이터값이 어떻게 저장되어있는지 패턴(?)을 생각해보았다. 결과는 생각보다 간단했는데 일련번호 컬럼의 값이 0인 행의 조직코드는 일..

1. 재정구조 재정구조는 크게 세가지로 나뉠 수 있다. (중앙재정, 지방재정, 지방교육재정) 나는 사실 평소에 재정이라는 단어를 사용해본적이 없기에 재정이라는 단어는 매우 생소했다. 1) 재정 정의 : 정부가 재원을 조달, 관리, 지출하는 모든 경제활동을 의미 내용 : 정부가 조세(세금)로 국민에 대해 거둬들인 수입을 주 재원으로 사용하며, 국가의 여러 행정적인 일에 사용되어 진다. 여기서 여러 행정적인 일이란 국가안보, 사회복지, 교육, 과학기술 개발, 치안활동 등을 포괄하고 있다. - 조세 : 국가나 지방단체가 재정권에 의하여 일반 국민들로부터 대가 없이 강제로 획득하는 수입을 뜻한다. 이렇게 얻은 수입은 국민 모두에게 얻어진 자금이므로 국가전체에 이로운 방향으로 사용되어야 하고 그 투명성 또한 중요..

[시작 이유] 1년간 재정 프로젝트를 하며 새롭게 알게된 내용을 정리하기 위한 공간, 재정통계의 개념부터 사용하는 다양한 수식들에 대한 정리를 할 예정입니다. [목차] 재정제도 재정통계 재정수입 재정지출

I will memo about 'SpringBoot' annotations.. I used to use annotation without thinking about it, but I felt the need to organize it. 1. @Bean first thing is about '@Bean' @Bean은 메소드 레벨에서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으로, 스프링 컨테이너에 의해서 관리되어지는 bean을 만든다. 또한, XML코드에서 사용하는 태그를 대체할 수 있다. example: @Bean public BeanTest beanTest(){ return new beanTest(); } 2. @Service @Service는 클래스 레벨에서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으로, 주로 서비스 클래스를 명시해주는 용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