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DP
- 그리디
- 아스키코드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SQL
- 탐색
- 백준
- Python
- BFS
- 구현
- LIS
- 다리 만들기
- Stack
- BufferedReader
- 백트래킹
- 브루트포스
- 시뮬레이션
- oracle
- Java
- 스택
- 프로그래머스
- HashMap
- 알고리즘
- 문자열
- dfs
- 배열
- 완전탐색
- Queue
- 새벽코딩
- 빅데이터
- Today
- Total
새벽코딩
[백준] [2146] 다리 만들기 (BFS) (JAVA) 본문
https://www.acmicpc.net/problem/2146
2146번: 다리 만들기
여러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가 있다. 이 나라의 대통령은 섬을 잇는 다리를 만들겠다는 공약으로 인기몰이를 해 당선될 수 있었다. 하지만 막상 대통령에 취임하자, 다리를 놓는다는 것이 아깝다
www.acmicpc.net
문제
여러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가 있다. 이 나라의 대통령은 섬을 잇는 다리를 만들겠다는 공약으로 인기몰이를 해 당선될 수 있었다. 하지만 막상 대통령에 취임하자, 다리를 놓는다는 것이 아깝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그는, 생색내는 식으로 한 섬과 다른 섬을 잇는 다리 하나만을 만들기로 하였고, 그 또한 다리를 가장 짧게 하여 돈을 아끼려 하였다.
이 나라는 N×N크기의 이차원 평면상에 존재한다. 이 나라는 여러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섬이란 동서남북으로 육지가 붙어있는 덩어리를 말한다. 다음은 세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의 지도이다.

위의 그림에서 색이 있는 부분이 육지이고, 색이 없는 부분이 바다이다. 이 바다에 가장 짧은 다리를 놓아 두 대륙을 연결하고자 한다. 가장 짧은 다리란, 다리가 격자에서 차지하는 칸의 수가 가장 작은 다리를 말한다. 다음 그림에서 두 대륙을 연결하는 다리를 볼 수 있다.

물론 위의 방법 외에도 다리를 놓는 방법이 여러 가지 있으나, 위의 경우가 놓는 다리의 길이가 3으로 가장 짧다(물론 길이가 3인 다른 다리를 놓을 수 있는 방법도 몇 가지 있다).
지도가 주어질 때, 가장 짧은 다리 하나를 놓아 두 대륙을 연결하는 방법을 찾으시오.
입력
첫 줄에는 지도의 크기 N(100이하의 자연수)가 주어진다. 그 다음 N줄에는 N개의 숫자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지며, 0은 바다, 1은 육지를 나타낸다. 항상 두 개 이상의 섬이 있는 데이터만 입력으로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가장 짧은 다리의 길이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10
1 1 1 0 0 0 0 1 1 1
1 1 1 1 0 0 0 0 1 1
1 0 1 1 0 0 0 0 1 1
0 0 1 1 1 0 0 0 0 1
0 0 0 1 0 0 0 0 0 1
0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1 0 0 0 0
0 0 0 0 1 1 1 0 0 0
0 0 0 0 0 0 0 0 0 0
예제 출력 1 복사
3
※ JAVA 코드 (다리 만들기)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N, cnt, landNum, result;
static int[][] map;
static boolean[][] visited;
static int[] dx = {-1, 0, 1, 0};
static int[] dy = {0, 1, 0, -1};
static class Node {
int x, y;
public Node(int x, int y) {
this.x = x;
this.y = y;
}
}
static class Point {
int x, y, cnt;
public Point(int x, int y, int cnt) {
this.x = x;
this.y = y;
this.cnt = cnt;
}
}
public static void setMap(int x, int y) {
Queue<Node> q = new LinkedList<>();
q.offer(new Node(x, y));
visited[x][y] = true;
while(!q.isEmpty()) {
Node now = q.poll();
map[now.x][now.y] = cnt;
for(int i = 0; i < 4; i++) {
int nextX = now.x + dx[i];
int nextY = now.y + dy[i];
if(nextX >= 0 && nextY >= 0 && nextX < N && nextY < N &&
visited[nextX][nextY] == false && map[nextX][nextY] == 1) {
q.offer(new Node(nextX, nextY));
visited[nextX][nextY] = true;
}
}
}
}
public static void BFS(int x, int y) {
Queue<Point> q = new LinkedList<>();
q.offer(new Point(x, y, 0));
visited[x][y] = true;
while(!q.isEmpty()) {
Point now = q.poll();
for(int i = 0; i < 4; i++) {
int nextX = now.x + dx[i];
int nextY = now.y + dy[i];
if(nextX < 0 || nextY < 0 || nextX >= N || nextY >= N) {
continue;
}
if(visited[nextX][nextY] == true || map[nextX][nextY] == landNum) {
continue;
}
// 방문체크
visited[nextX][nextY] = true;
if(map[nextX][nextY] == 0) {
q.offer(new Point(nextX, nextY, now.cnt + 1));
} else {
// 이동한 거리가 현재 담고있는 최소거리보다 짧으면 담는다
result = result > now.cnt ? now.cnt : result;
}
}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map = new int[N][N];
visited = new boolean[N][N];
for(int i = 0; i < N;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int j = 0; j < N; j++) {
map[i][j]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
cnt = 0;
for(int i = 0; i < N; i++) {
for(int j = 0; j < N; j++) {
if(map[i][j] == 1 && visited[i][j] == false) {
cnt++;
setMap(i, j);
}
}
}
result = 1000;
for(int i = 0; i < N; i++) {
for(int j = 0; j < N; j++) {
if(map[i][j] != 0) {
visited = new boolean[N][N];
landNum = map[i][j];
BFS(i, j);
}
}
}
System.out.println(result);
}
}
※ 생각정리 (다리 만들기)
백준 다리만들기 문제를 풀기위해서 몇가지를 정리하였다.
1. 각 섬을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각 섬을 구별하기 위해서 섬마다 넘버링을 해주었다. 1부터 섬의 개수만큼 수를 증가시키면서 섬의 땅에 수를 담아주었다.
public static void setMap(int x, int y) {
Queue<Node> q = new LinkedList<>();
q.offer(new Node(x, y));
visited[x][y] = true;
while(!q.isEmpty()) {
Node now = q.poll();
// 맵의 값을 카운트값으로 담아준다
map[now.x][now.y] = cnt;
for(int i = 0; i < 4; i++) {
int nextX = now.x + dx[i];
int nextY = now.y + dy[i];
if(nextX >= 0 && nextY >= 0 && nextX < N && nextY < N &&
visited[nextX][nextY] == false && map[nextX][nextY] == 1) {
q.offer(new Node(nextX, nextY));
visited[nextX][nextY] = true;
}
}
}
}
이 맵의 형태로 값이 입력되어졌다면,
1 1 1 0 0 0 0 1 1 1
1 1 1 1 0 0 0 0 1 1
1 0 1 1 0 0 0 0 1 1
0 0 1 1 1 0 0 0 0 1
0 0 0 1 0 0 0 0 0 1
0 0 0 0 0 0 0 0 0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1 0 0 0 0
0 0 0 0 1 1 1 0 0 0
0 0 0 0 0 0 0 0 0 0
다음과 같은 형태로 각 섬에 넘버링을 해주었다.
1 1 1 0 0 0 0 2 2 2
1 1 1 1 0 0 0 0 2 2
1 0 1 1 0 0 0 0 2 2
0 0 1 1 1 0 0 0 0 2
0 0 0 1 0 0 0 0 0 2
0 0 0 0 0 0 0 0 0 2
0 0 0 0 0 0 0 0 0 0
0 0 0 0 3 3 0 0 0 0
0 0 0 0 3 3 3 0 0 0
0 0 0 0 0 0 0 0 0 0
2. 섬과 섬을 잇는다.
현재 탐색을 시작하는 노드가 몇번 섬인지를 확인 후 다음 좌표가 물인 부분만 탐색하면서 클래스의 카운트를 증가시킨다. 이때, 다른 섬을 만나면 그 카운트 값을 저장한다.
if(map[nextX][nextY] == 0) {
q.offer(new Point(nextX, nextY, now.cnt + 1));
} else {
// 이동한 거리가 현재 담고있는 최소거리보다 짧으면 담는다
result = result > now.cnt ? now.cnt : result;
}
-새벽코딩-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2665] 미로 만들기 (BFS, 다익스트라) (JAVA) (0) | 2023.01.19 |
---|---|
[프로그래머스] 마법의 엘리베이터 (구현) (JAVA) (0) | 2023.01.18 |
[백준] [3187] 양치기 꿍 (BFS) (JAVA) (0) | 2023.01.16 |
[백준] [13458] 시험 감독 (사칙연산) (JAVA) (0) | 2023.01.13 |
[백준] [2217] 로프 (그리디, 정렬) (JAVA) (0) | 2023.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