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배열
- 새벽코딩
- 알고리즘
- dfs
- oracle
- 탐색
- 프로그래머스
- DP
- Stack
- 다리 만들기
- 빅데이터
- 구현
- BFS
- SQL
- Queue
- BufferedReader
- 그리디
- HashMap
- 시뮬레이션
- 백트래킹
- Python
- 백준
- 아스키코드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문자열
- Java
- 브루트포스
- LIS
- 완전탐색
- 스택
Archives
- Today
- Total
새벽코딩
[SQLP] SQL 기본과 활용 - 데이터 유형 본문
반응형
데이터 유형
- CHARACTER(s)
- 고정 길이 문자열 정보를 나타냄 (Oracle이나 SQL Server에서는 CHAR로 표현)
- s는 기본 길이 1byte, 최대 길이 Oracle(2000 byte), SQL Server(8000 byte)
- s만큼 최대 길이, 고정길이를 갖고 있으므로 할당된 변수길이보다 작을 경우 남는 길이만큼 공백으로 채워짐
- VARCHAR(s)
- 가변 길이 문자열 정보를 나타냄
- s는 최소길이 1byte, 최대길이 Oracle(4000 byte), SQL Server(8000 byte)
- s만큼 최대 길이를 갖지만 가변 길이로 조정이 되기 때문에 할당된 변수값의 byte만 적용
- NUMERIC
- 정수, 실수 등의 숫자정보 (Oracle은 NUMBER, SQL Server은 10가지이상의 숫자타입)
- Oracle은 처음에 전체자리 수를 지정하고, 소수부의 자리수를 지정한다 (ex: NUMBER(10, 2))
- DATETIME
- 날짜와 시각정보를 나타냄(Oracle은 DATE, SQL Server은 DATETIME)
- Oracle은 1초단위, SQL Server은 3.33ms 단위
반응형
'DB 모델링 & 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 튜닝] 1. 최적화 (0) | 2022.04.24 |
---|---|
[SQLP] SQL 기본과 활용 - 함수 (0) | 2022.02.03 |
[DB모델링] ERD 툴 선택 및 그리기 (0) | 2022.01.12 |
[데이터베이스 개론] 데이터베이스란? (0) | 2022.01.05 |
[Oracle] SQL Update 반복문 (0) | 2022.01.04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