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탐색
- DP
- Queue
- 완전탐색
- 브루트포스
- 프로그래머스
- 시뮬레이션
- 빅데이터
- Python
- 아스키코드
- SQL
- Java
- Stack
- 다리 만들기
- dfs
- 백준
- HashMap
- BFS
- 알고리즘
- 배열
- 문자열
- LIS
- 스택
- 새벽코딩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구현
- 백트래킹
- 그리디
- BufferedReader
- oracle
- Today
- Total
새벽코딩
[DB모델링] ERD 툴 선택 및 그리기 본문
SpringBoot기반 토이 프로젝트를 위해 데이터베이스 모델을 설계중에 여러 테이블의 관계를 그리기 위해서 ERD를 그리는 것이 필요했다.
토이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최대한 무료로 제공하는 ERD툴을 찾던중 좋은 툴을 찾았다.
Draw.io
Flowchart Maker & Online Diagram Software
Flowchart Maker and Online Diagram Software diagrams.net (formerly draw.io) is free online diagram software. You can use it as a flowchart maker, network diagram software, to create UML online, as an ER diagram tool, to design database schema, to build BPM
app.diagrams.net
Web에서 빠르게 ERD를 그려볼 수 있고 GitHub과 연동도 되니 일석이조였다.
사실 돈이 많다면 좀 더 좋은 ERD툴을 써보고 싶지만 그건 나중의 일이 될 것 같다.
여유가 좀 된다면
https://sqldbm.com/Home/
SqlDBM - Online Database Modeler
SqlDBM - Online Database Modeler
sqldbm.com
를 한번 써보시는걸 추천하겠다.
사실 회사에서는 ERwin툴을 사용해서 ERD를 그리고 사용했다.
방대한 양의 테이블을 다루다 보니 ERD툴자체가 간단 명료보다는 실질적으로 데이터를 다루는데 명확하고 다양한 기능이 추가된 ERwin툴을 사용한다.
ERwin이야기가 나왔으니 간단하게 Erwin의 스펙(?)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고 넘어가겠다(사용해본 핵심기능만)
1. Model Explorer
이 기능을 사용해서 수 많은(1000개가 넘을 것이다) 스키마, 테이블들이 존재하는 모델러에서 원하는 해당 Object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해준다. (저는 주로 테이블을 삭제하는 경우 사용함,,)
간혹가다 같은 이름의 테이블들이 두, 세개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비슷한 형태의 테이블은 복사를 통해 빠르게 찍어내는 작업때문 (붕어빵 찍는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2. Accelerator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이다. Accelerator은 Table명으로 검색하여 원하는 테이블을 선택후 메타에서 원하는 Entity를 선택해서 추가할 수 있다. 추가시 PK설정, Nullable등을 선택할 수 있고 각각의 순서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Accelerator의 핵심기능중 하나로 Gap분석이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하면 META시스템에 정의된 표준용어, 표준도메인등과 모델을 매핑할 수 있다. 각각의 논리명을 매핑하여 데이터타입(INT, VARCHAR, CHAR등등), 길이가 올바르게 설정되어져 있는지를 체크해준다.
각설하고 무튼 나는 위의 Draw툴을 사용해 ERD를 만들 예정이다.
우선은 Users, UserDetail, Boards, Cards정도의 테이블을 설계할 것이고 이는 추후 계속적으로 업데이트 될 것이다.

이정도 작성하는게 참 오래도 걸렸다.. 역시 돈주고 툴을 사는 이유가 있나보다.. 아직은 이 툴이 익숙하지 않아서 그럴 수도 있겠지만ㅎㅎ
부족한 점이 많을 것 같아서 빠르게 만들어두고 수정을 해야겠다.
'DB 모델링 & 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P] SQL 기본과 활용 - 함수 (0) | 2022.02.03 |
---|---|
[SQLP] SQL 기본과 활용 - 데이터 유형 (0) | 2022.02.03 |
[데이터베이스 개론] 데이터베이스란? (0) | 2022.01.05 |
[Oracle] SQL Update 반복문 (0) | 2022.01.04 |
[ORACLE] / [SQL] 사용전 꿀팁 (0) | 2021.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