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빅데이터
- dfs
- Java
- 배열
- oracle
- 백트래킹
- Stack
- 아스키코드
- BufferedReader
- Queue
- DP
- 시뮬레이션
- LIS
- 구현
- 문자열
- 완전탐색
- 스택
- 백준
- 알고리즘
- 그리디
- HashMap
- Python
- 프로그래머스
- 탐색
- SQL
- 새벽코딩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BFS
- 브루트포스
- 다리 만들기
- Today
- Total
새벽코딩
[백준] [2636] 치즈 (BFS) (JAVA) 본문
https://www.acmicpc.net/problem/2636
2636번: 치즈
아래 <그림 1>과 같이 정사각형 칸들로 이루어진 사각형 모양의 판이 있고, 그 위에 얇은 치즈(회색으로 표시된 부분)가 놓여 있다. 판의 가장자리(<그림 1>에서 네모 칸에 X친 부분)에는 치즈가 놓
www.acmicpc.net
문제
아래 <그림 1>과 같이 정사각형 칸들로 이루어진 사각형 모양의 판이 있고, 그 위에 얇은 치즈(회색으로 표시된 부분)가 놓여 있다. 판의 가장자리(<그림 1>에서 네모 칸에 X친 부분)에는 치즈가 놓여 있지 않으며 치즈에는 하나 이상의 구멍이 있을 수 있다.
이 치즈를 공기 중에 놓으면 녹게 되는데 공기와 접촉된 칸은 한 시간이 지나면 녹아 없어진다. 치즈의 구멍 속에는 공기가 없지만 구멍을 둘러싼 치즈가 녹아서 구멍이 열리면 구멍 속으로 공기가 들어가게 된다. <그림 1>의 경우, 치즈의 구멍을 둘러싼 치즈는 녹지 않고 ‘c’로 표시된 부분만 한 시간 후에 녹아 없어져서 <그림 2>와 같이 된다.

<그림 1> 원래 치즈 모양
다시 한 시간 후에는 <그림 2>에서 ‘c’로 표시된 부분이 녹아 없어져서 <그림 3>과 같이 된다.

<그림 2> 한 시간 후의 치즈 모양

<그림 3> 두 시간 후의 치즈 모양
<그림 3>은 원래 치즈의 두 시간 후 모양을 나타내고 있으며, 남은 조각들은 한 시간이 더 지나면 모두 녹아 없어진다. 그러므로 처음 치즈가 모두 녹아 없어지는 데는 세 시간이 걸린다. <그림 3>과 같이 치즈가 녹는 과정에서 여러 조각으로 나누어 질 수도 있다.
입력으로 사각형 모양의 판의 크기와 한 조각의 치즈가 판 위에 주어졌을 때, 공기 중에서 치즈가 모두 녹아 없어지는 데 걸리는 시간과 모두 녹기 한 시간 전에 남아있는 치즈조각이 놓여 있는 칸의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는 사각형 모양 판의 세로와 가로의 길이가 양의 정수로 주어진다. 세로와 가로의 길이는 최대 100이다. 판의 각 가로줄의 모양이 윗 줄부터 차례로 둘째 줄부터 마지막 줄까지 주어진다. 치즈가 없는 칸은 0, 치즈가 있는 칸은 1로 주어지며 각 숫자 사이에는 빈칸이 하나씩 있다.
출력
첫째 줄에는 치즈가 모두 녹아서 없어지는 데 걸리는 시간을 출력하고, 둘째 줄에는 모두 녹기 한 시간 전에 남아있는 치즈조각이 놓여 있는 칸의 개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13 12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1 1 0 0 0
0 1 1 1 0 0 0 1 1 0 0 0
0 1 1 1 1 1 1 0 0 0 0 0
0 1 1 1 1 1 0 1 1 0 0 0
0 1 1 1 1 0 0 1 1 0 0 0
0 0 1 1 0 0 0 1 1 0 0 0
0 0 1 1 1 1 1 1 1 0 0 0
0 0 1 1 1 1 1 1 1 0 0 0
0 0 1 1 1 1 1 1 1 0 0 0
0 0 1 1 1 1 1 1 1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예제 출력 1 복사
3
5
※ JAVA 코드 (치즈)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N, M;
static int[][] map;
static boolean[][] visited;
static int[] dx = {-1, 0, 1, 0};
static int[] dy = {0, 1, 0, -1};
static ArrayList<Node> list;
static class Node{
int x, y;
public Node(int x, int y) {
this.x = x;
this.y = y;
}
}
public static void BFS() {
int x = 0, y = 0;
Queue<Node> q = new LinkedList<>();
q.offer(new Node(x, y));
map[x][y] = -1;
while(!q.isEmpty()) {
Node now = q.poll();
for(int i = 0; i < 4; i++) {
int nextX = now.x + dx[i];
int nextY = now.y + dy[i];
if(nextX < 0 || nextY < 0 || nextX >= N || nextY >= M) {
continue;
}
if(visited[nextX][nextY] == true || map[nextX][nextY] == 1) {
continue;
}
visited[nextX][nextY] = true;
map[nextX][nextY] = -1;
q.offer(new Node(nextX, nextY));
}
}
}
public static boolean cheeseMelt(int x, int y) {
int count = 0;
for(int i = 0; i < 4; i++) {
int nextX = x + dx[i];
int nextY = y + dy[i];
if(nextX < 0 || nextY < 0 || nextX > N || nextY > M) {
continue;
}
if(map[nextX][nextY] == -1) {
count++;
}
}
if(count >= 1) {
return true;
} else {
return false;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int result = 0;
int leftCheese = 0;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ap = new int[N][M];
visited = new boolean[N][M];
list = new ArrayList<>();
for(int i = 0; i < N;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j = -1;
while(st.hasMoreTokens()) {
map[i][++j]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
while(true) {
list.clear();
visited = new boolean[N][M];
BFS();
// 치즈 외곽 리스트에 담기
for(int i = 1; i < N-1; i++) {
for(int j = 1; j < M-1; j++) {
if(map[i][j] == 1 && cheeseMelt(i, j) == true) {
// 겉 치즈 리스트 삽입
list.add(new Node(i, j));
}
}
}
// 치즈가 남아있지 않다면 종료
if(list.size() == 0) {
break;
}
// 치즈 외곽을 0으로 표기
for(Node node : list) {
map[node.x][node.y] = 0;
}
// 현재 남아있는 치즈 수
leftCheese = list.size();
// 걸리는 시간
result++;
}
// 출력
System.out.println(result);
System.out.println(leftCheese);
}
}
※ 생각정리 (치즈)
while(true) {
list.clear();
visited = new boolean[N][M];
BFS();
// 치즈 외곽 리스트에 담기
for(int i = 1; i < N-1; i++) {
for(int j = 1; j < M-1; j++) {
if(map[i][j] == 1 && cheeseMelt(i, j) == true) {
// 겉 치즈 리스트 삽입
list.add(new Node(i, j));
}
}
}
// 치즈가 남아있지 않다면 종료
if(list.size() == 0) {
break;
}
// 치즈 외곽을 0으로 표기
for(Node node : list) {
map[node.x][node.y] = 0;
}
// 현재 남아있는 치즈 수
leftCheese = list.size();
// 걸리는 시간
result++;
}
치즈 문제는 가장 먼저, BFS를 이용해 치즈 외곽 부분과 치즈 내부 부분을 나누어 주어야한다.
1. 치즈가 아닌 바깥 부분을 0에서 -1로 치환해주고 시작한다.
2. 다음 반복문이 도는 동안 현재 값이 1(치즈)일때 현재 치즈가 치즈의 외곽부분이라면 (cheeseMelt(i, j) == true) 리스트에 담아준다.
3. 외곽에 있는 치즈(리스트에 담겨있는 좌표)는 0으로 치환해준다.
4. 1번 방법(0을 -1로 치환) 부터 반복하여 실행하고 리스트에 값이 하나도 없을때 즉 치즈가 남아있지 않을 때 루프를 종료한다.
※ 결과 (치즈)
-새벽코딩-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1652] 카드 (자료구조) (JAVA) (0) | 2023.01.11 |
---|---|
[백준] [2589] 보물섬 (BFS) (JAVA) (0) | 2023.01.10 |
[백준] [2852] NBA농구 (문자열) (JAVA) (2) | 2023.01.09 |
[백준] [11726] 2×n 타일링 (dp) (JAVA) (0) | 2023.01.08 |
[백준] [14442] 벽 부수고 이동하기2 (BFS) (JAVA) (0) | 2023.0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