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코딩

[백준] [1388] 바닥 장식 (BFS) (JAVA) 본문

알고리즘

[백준] [1388] 바닥 장식 (BFS) (JAVA)

J 코딩 2022. 12. 31. 12:21
반응형

https://www.acmicpc.net/problem/1388

1388번: 바닥 장식

형택이는 건축가이다. 지금 막 형택이는 형택이의 남자 친구 기훈이의 집을 막 완성시켰다. 형택이는 기훈이 방의 바닥 장식을 디자인했고, 이제 몇 개의 나무 판자가 필요한지 궁금해졌다. 나

www.acmicpc.net


문제

형택이는 건축가이다. 지금 막 형택이는 형택이의 남자 친구 기훈이의 집을 막 완성시켰다. 형택이는 기훈이 방의 바닥 장식을 디자인했고, 이제 몇 개의 나무 판자가 필요한지 궁금해졌다. 나무 판자는 크기 1의 너비를 가졌고, 양수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기훈이 방은 직사각형 모양이고, 방 안에는 벽과 평행한 모양의 정사각형으로 나누어져 있다.

이제 ‘-’와 ‘|’로 이루어진 바닥 장식 모양이 주어진다. 만약 두 개의 ‘-’가 인접해 있고, 같은 행에 있다면, 두 개는 같은 나무 판자이고, 두 개의 ‘|’가 인접해 있고, 같은 열에 있다면, 두 개는 같은 나무 판자이다.

기훈이의 방 바닥을 장식하는데 필요한 나무 판자의 개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방 바닥의 세로 크기N과 가로 크기 M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M개의 문자가 주어진다. 이것은 바닥 장식 모양이고, '-‘와 ’|‘로만 이루어져 있다. N과 M은 50 이하인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문제의 정답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4 4
----
----
----
----

예제 출력 1 복사

4

예제 입력 2 복사

6 9
-||--||--
--||--||-
|--||--||
||--||--|
-||--||--
--||--||-

예제 출력 2 복사

31

예제 입력 3 복사

7 8
--------
|------|
||----||
|||--|||
||----||
|------|
--------

예제 출력 3 복사

13

예제 입력 4 복사

10 10
||-||-|||-
||--||||||
-|-|||||||
-|-||-||-|
||--|-||||
||||||-||-
|-||||||||
||||||||||
||---|--||
-||-||||||

예제 출력 4 복사

41

예제 입력 5 복사

6 6
-||--|
||||||
|||-|-
-||||-
||||-|
||-||-

예제 출력 5 복사

19

※ JAVA 코드 (바닥 장식)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N, M;
	static char[][] map;
	static boolean[][] visited;
	static boolean checker;
	static class Node {
		int x, y;
		public Node(int x, int y) {
			this.x = x;
			this.y = y;
		}
	}
	
	public static void BFS(int x, int y) {
		Queue<Node> q = new LinkedList<>();
		q.offer(new Node(x, y));
		visited[x][y] = true;
		
		while(!q.isEmpty()) {
			Node now = q.poll();
			int nowX = now.x;
			int nowY = now.y;
			int nextX, nextY;
			// '-' 일경우
			if(checker == true) {
				nextX = nowX;
				nextY = nowY + 1;
				
				if(nextY < 0 || nextY >= M || 
				   visited[nextX][nextY] == true || map[nextX][nextY] == '|') {
					continue;
				}
				
				q.offer(new Node(nextX, nextY));
				visited[nextX][nextY] = true;
				
			}
			// '|' 일경우
			else {
				nextX = nowX + 1;
				nextY = nowY;
				
				if(nextX < 0 || nextX >= N || 
				   visited[nextX][nextY] == true || map[nextX][nextY] == '-') {
					continue;
				}
				
				q.offer(new Node(nextX, nextY));
				visited[nextX][nextY] = true;
			}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int answer = 0;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ap = new char[N][M];
		visited = new boolean[N][M];
		
		for(int i = 0; i < N; i++) {
			String input = br.readLine();
			for(int j = 0; j < M; j++) {
				// '-' 이거나 '|'
				map[i][j] = input.charAt(j);
			}
		}
		
		for(int i = 0; i < N; i++) {
			for(int j = 0; j < M; j++) {
				
				if(visited[i][j] == false) {
					// '-' 일때면
					if(map[i][j] == '-') {
						checker = true;
						BFS(i, j);
						answer++;
					}
					// '|' 일때
					else {
						checker = false;
						BFS(i, j);
						answer++;
					}
				}
				
			}
		}
		System.out.println(answer);
	}

}

※ 생각정리 (바닥 장식)
바닥 장식(1388)문제는 입력 값이 '-'일 경우와 '|'일 경우를 나누어서 분기처리를 할 필요가 있다.
분기처리를 위해 checker변수를 만들어서 '-'이 들어올 때는 checker = true , '|'이 들어올 때는 checker = false로 담아두고 
BFS를 나눠서 돌린다.
 
-새벽코딩-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