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그리디
- SQL
- 백준
- BFS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문자열
- 백트래킹
- LIS
- 다리 만들기
- oracle
- 프로그래머스
- 아스키코드
- 스택
- 완전탐색
- Python
- BufferedReader
- 빅데이터
- Queue
- 탐색
- 알고리즘
- DP
- 구현
- 시뮬레이션
- 브루트포스
- 새벽코딩
- 배열
- Java
- HashMap
- Stack
- dfs
- Today
- Total
새벽코딩
[백준][24480] 알고리즘 수업 - 깊이 우선 탐색 2 (dfs) (JAVA) 본문
https://www.acmicpc.net/problem/24480
24480번: 알고리즘 수업 - 깊이 우선 탐색 2
첫째 줄에 정점의 수 N (5 ≤ N ≤ 100,000), 간선의 수 M (1 ≤ M ≤ 200,000), 시작 정점 R (1 ≤ R ≤ N)이 주어진다. 다음 M개 줄에 간선 정보 u v가 주어지며 정점 u와 정점 v의 가중치 1인 양
www.acmicpc.net
문제
오늘도 서준이는 깊이 우선 탐색(DFS) 수업 조교를 하고 있다. 아빠가 수업한 내용을 학생들이 잘 이해했는지 문제를 통해서 확인해보자.
N개의 정점과 M개의 간선으로 구성된 무방향 그래프(undirected graph)가 주어진다. 정점 번호는 1번부터 N번이고 모든 간선의 가중치는 1이다. 정점 R에서 시작하여 깊이 우선 탐색으로 노드를 방문할 경우 노드의 방문 순서를 출력하자.
깊이 우선 탐색 의사 코드는 다음과 같다. 인접 정점은 내림차순으로 방문한다.
dfs(V, E, R) { # V : 정점 집합, E : 간선 집합, R : 시작 정점
visited[R] <- YES; # 시작 정점 R을 방문 했다고 표시한다.
for each x ∈ E(R) # E(R) : 정점 R의 인접 정점 집합.(정점 번호를 내림차순으로 방문한다)
if (visited[x] = NO) then dfs(V, E, x);
}
입력
첫째 줄에 정점의 수 N (5 ≤ N ≤ 100,000), 간선의 수 M (1 ≤ M ≤ 200,000), 시작 정점 R (1 ≤ R ≤ N)이 주어진다.
다음 M개 줄에 간선 정보 u v가 주어지며 정점 u와 정점 v의 가중치 1인 양방향 간선을 나타낸다. (1 ≤ u < v ≤ N, u ≠ v) 모든 간선의 (u, v) 쌍의 값은 서로 다르다.
출력
첫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정수를 한 개씩 출력한다. i번째 줄에는 정점 i의 방문 순서를 출력한다. 시작 정점의 방문 순서는 1이다. 시작 정점에서 방문할 수 없는 경우 0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5 5 1
1 4
1 2
2 3
2 4
3 4
예제 출력 1
1
4
3
2
0
정점 1번에서 정점 4번을 방문한다. 정점 4번에서 정점 3번을 방문한다. 정점 3번에서 정점 2번을 방문한다. 정점 5번은 정점 1번에서 방문할 수 없다.
※ JAVA 코드 (깊이 우선 탐색 2)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N, M, R;
static int U, V;
static int cnt;
static ArrayList<ArrayList<Integer>> adjList;
static int[] visited;
public static void dfs(int r) {
visited[r] = cnt;
for(int i = 0; i < adjList.get(r).size(); i++) {
int next = adjList.get(r).get(i);
if(visited[next] == 0) {
cnt++;
dfs(next);
}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R = Integer.parseInt(st.nextToken());
adjList = new ArrayList<ArrayList<Integer>>();
visited = new int[N + 1];
cnt = 1;
for(int i = 0; i <= N; i++)
{
adjList.add(new ArrayList<Integer>());
}
/* input */
for(int i = 0; i < M;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 각 간선의 정보
U = Integer.parseInt(st.nextToken());
V = Integer.parseInt(st.nextToken());
adjList.get(U).add(V);
adjList.get(V).add(U);
}
/* order */
for(int i = 0; i < adjList.size(); i++)
{
Collections.sort(adjList.get(i), Collections.reverseOrder());
}
dfs(R);
for(int i = 0; i < visited.length; i++) {
if(i == 0) continue;
System.out.println(visited[i]);
}
}
}
※ 생각정리 (깊이 우선 탐색 2)
시작 정점에 먼저 1을 담고 탐색을 시작한다.
연결된 정점을 미리 내림차순 정렬 해두었기 때문에 현재 정점과 연결된 가장 큰 수부터 탐색 하게 된다.
-새벽코딩-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추억 점수 (JAVA) (문자열, 시뮬레이션) (0) | 2023.05.03 |
---|---|
[프로그래머스] 달리기 경주 (JAVA) (문자열) (0) | 2023.04.26 |
[SWEA] [15612] 체스판 위의 룩 배치 (0) | 2023.03.15 |
[SWEA] [15758] 무한 문자열 (2) | 2023.03.14 |
[백준] [12891] DNA 비밀번호 (문자열, 슬라이딩윈도우) (JAVA) (0) | 2023.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