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탐색
- Java
- 문자열
- 그리디
- LIS
- DP
- 배열
- 백준
- 아스키코드
- SQL
- 다이나믹프로그래밍
- HashMap
- BufferedReader
- 새벽코딩
- BFS
- 시뮬레이션
- 브루트포스
- Python
- 알고리즘
- 백트래킹
- 프로그래머스
- oracle
- 빅데이터
- 스택
- 구현
- dfs
- Stack
- 완전탐색
- 다리 만들기
- Queue
Archives
- Today
- Total
새벽코딩
[빅데이터 분석기사] 8회 합격 후기 본문
반응형
결론부터 말하자면,, 합격입니다.
누구에게는 어려운 시험이 아닐 수도 있지만 저에겐 조금 머리아픈(?) 시험이었습니다.

[자격증취득이 목표라면 전략적으로]
제1유형과 제2유형의 개념을 두텁게 가져가서 두 유형에서 점수를 취득하는 것이 좋아보입니다. 제3유형도 풀 수 있었는데 저는 시험장에서 갑자기 공식이 생각이 안나더라구요...
[공부기간은 이렇게]
전공자(통계관련)라면 일주일만 공부해도 문제없을 난이도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비전공자인경우 파이썬이나 R을 익히기위해서 시간을 투자해야하고 필기때 공부했던 통계지식들을 다시 읇어보아야해서 최소 3주정도의 시간을 두고 공부하시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공부정보]
1) 제1유형
데이터마님 사이트를 많이 참고했고 해당 사이트의 문제를 4번정도 반복해서 풀어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제 1유형은 시험장에서도 쉽게 다가오실거에요 근데 풀면서 자기만의 코드로 만드는 작업을 하시면 좋습니다.
2) 제2유형
이 유형은 다들 알다시피 암기하는 유형이며 가장 쉽게 점수를 취득할 수 있는 유형입니다.
3) 제3유형
검정통계량파트를 많이 공부하시면 좋을거 같고 사실 빅데이터필기에 이론공부를 좀 하셨다면 쉬울 수 있는 유형입니다. 앞에서 말했었는데 문제자체는 쉬웠지만 시험장에서는 기억이 ..
짧은 후기였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데이터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빅데이터분석기사] 실기 기출문제 5회 작업형 3 (0) | 2024.06.22 |
---|---|
[빅데이터분석기사] 실기 기출문제 작업형 2 (0) | 2024.06.21 |
[빅데이터분석기사] 실기 기출문제 4회 작업형 1 (0) | 2024.06.21 |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체험형) 작업형 3 풀이 (0) | 2024.06.21 |
[ADsP] 36회 데이터분석 준전문가 (합격 후기) (3) | 2023.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