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코딩

[프로그래머스] 구명보트 (JAVA) (그리디) (level2) 본문

알고리즘

[프로그래머스] 구명보트 (JAVA) (그리디) (level2)

J 코딩 2023. 11. 4. 22:27
반응형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885?language=java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무인도에 갇힌 사람들을 구명보트를 이용하여 구출하려고 합니다. 구명보트는 작아서 한 번에 최대 2명씩 밖에 탈 수 없고, 무게 제한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의 몸무게가 [70kg, 50kg, 80kg, 50kg]이고 구명보트의 무게 제한이 100kg이라면 2번째 사람과 4번째 사람은 같이 탈 수 있지만 1번째 사람과 3번째 사람의 무게의 합은 150kg이므로 구명보트의 무게 제한을 초과하여 같이 탈 수 없습니다.

구명보트를 최대한 적게 사용하여 모든 사람을 구출하려고 합니다.

사람들의 몸무게를 담은 배열 people과 구명보트의 무게 제한 limit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모든 사람을 구출하기 위해 필요한 구명보트 개수의 최솟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무인도에 갇힌 사람은 1명 이상 50,000명 이하입니다.
  • 각 사람의 몸무게는 40kg 이상 240kg 이하입니다.
  • 구명보트의 무게 제한은 40kg 이상 240kg 이하입니다.
  • 구명보트의 무게 제한은 항상 사람들의 몸무게 중 최댓값보다 크게 주어지므로 사람들을 구출할 수 없는 경우는 없습니다.

※ JAVA 코드 (구명보트)

import java.util.*;
import java.util.stream.Collectors;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people, int limit) {   
        // 보트개수
        int boat = 0;
        int s = 0;
        int e = people.length - 1;
        
        Arrays.sort(people);
        
        while(s <= e) {

            if(people[s] + people[e] <= limit) {
                s++;
                e--;
            } else {
                e--;
            }

            boat++;
        }
        
        return boat;
    }
}

※ 생각정리

 

문제를 잘 읽어야 한다는 걸 깨닫게 해준 문제였다.. 완전 삽질한문제.. 문제에서 주어진 다음 문장을 보지 못했다

 

무인도에 갇힌 사람들을 구명보트를 이용하여 구출하려고 합니다. 구명보트는 작아서 한 번에 최대 2명씩 밖에 탈 수 없고, 무게 제한도 있습니다.

 

2명제한이 있다는 문장을 보지못해 limit까지 최대한 가장 많은 인원을 태우기 위해서 로직을 만들었고 소스는 다음과 같다.

 

// treeset
TreeSet<Integer> treeSet = new TreeSet<>();

// 잔여인원체크
int[] chk = new int[241];

for(int i : list) {
    // 원소 종류
    treeSet.add(i);
    // 개수체크
    chk[i]++;
}

// TreeSet에 담긴 원소 내림차순 정렬
NavigableSet<Integer> decendingSet = treeSet.descendingSet();

// set에 더이상 원소가 없으면 종료
while(!decendingSet.isEmpty()) {
    int hap = 0;
    Set<Integer> removed = new TreeSet<>();
    // set 크기만큼 반복
    for(int i : decendingSet) {
        int cnt = 0;
        for(int j = 0; j < chk[i] && (hap + i) <= limit; j++) {
            hap += i;
            cnt++;
        }
        chk[i] -= cnt;

        if(chk[i] == 0) {
            removed.add(i);
        }
    }

    // 이미 탄 승객은 탑승할 리스트에서 삭제
    decendingSet.removeAll(removed);
    // 보트 개수
    boat++;
}

 

위 소스를 보면 최신 자바 문법과 자주 사용하지 않았던 문법들이 등장해서 잠깐 설명의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

 

1) TreeSet<>()은 아마 다들 익숙할 것이다. 정수형 원소가 담기면 자동으로 정렬을 지원하며 Set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중복을 허용하지 않는다. 그래서 몸무게가 같은 인원의 분류를 위해서 사용했다.

 

2) 이 TreeSet을 역정렬 하기 위하여 NavigableSet<>()에 담는 과정이 있었다.

NavigableSet<Integer> decendingSet = treeSet.descendingSet();

[NavigableSet]

A SortedSet extended with navigation methods reporting closest matches for given search targets. Methods lower, floor, ceiling, and higher return elements respectively less than, less than or equal, greater than or equal, and greater than a given element, returning null if there is no such element

 

java doc의 원문을 보자면 해당 메서드는 lover, floor, ceiling, highter등의 기능을 지원하고 iterator를 사용하게 하여 반복작업에도 유연한 성능을 보인다.

 

iterator말고도 유연한 for문으로도 접근이 가능하여 위와 같이 반복문에 활용하였다.


 

결론을 말하자면, 보트의 인원제한은 2명이므로 무조건 2명을 채웠을 수 있으면 채우고 채울 수 없다면 더 무거운 인원을 태우면 된다

 

1. 현재 남은 인원중 가장 무거운 사람과 가장 가벼운 사람을 짝지어 태운다. (최대한 짝지어 태우는 것이 유리하다)

2. 더이상 짝지을 수가 없는 경우에는 무거운 인원부터 태운다 (사실 이때부턴 정렬이 의미 없다)

3. 매번 보트의 수를 센다.

 

- 새벽코딩 -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