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백준] [5567] 결혼식 (JAVA)

J 코딩 2022. 12. 14. 00:23
반응형

문제

상근이는 자신의 결혼식에 학교 동기 중 자신의 친구와 친구의 친구를 초대하기로 했다. 상근이의 동기는 모두 N명이고, 이 학생들의 학번은 모두 1부터 N까지이다. 상근이의 학번은 1이다.

상근이는 동기들의 친구 관계를 모두 조사한 리스트를 가지고 있다. 이 리스트를 바탕으로 결혼식에 초대할 사람의 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상근이의 동기의 수 n (2 ≤ n ≤ 500)이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리스트의 길이 m (1 ≤ m ≤ 10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부터 m개 줄에는 친구 관계 ai bi가 주어진다. (1 ≤ ai < bi ≤ n) ai와 bi가 친구라는 뜻이며, bi와 ai도 친구관계이다. 

출력

첫째 줄에 상근이의 결혼식에 초대하는 동기의 수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복사

6
5
1 2
1 3
3 4
2 3
4 5

예제 출력 1 복사

3

예제 입력 2 복사

6
5
2 3
3 4
4 5
5 6
2 5

예제 출력 2 복사

0

 

※ JAVA 코드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Queue<Integer> q = new LinkedList<>();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int m = Integer.parseInt(br.readLine());
		
		List<Integer>[] list = new ArrayList[n+1];
		boolean[] visited = new boolean[n+1];
		
		for(int i = 0; i <= n; i++) {
			list[i] = new ArrayList<>();
		}
		
		for(int i = 0; i < m;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a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b = Integer.parseInt(st.nextToken());
			
			list[a].add(b);
			list[b].add(a);
		}
		
		int dap = 0;
		if(list[1].isEmpty()) {
			System.out.println(0);
			return;
		}
		q.offer(1);
		visited[1] = true;
		
		while(!q.isEmpty()) {
			int now = q.poll();
			
			for(Integer i : list[now]) {
				if(!visited[i]) {
					if(now == 1) q.offer(i);
					visited[i] = true;
					dap++;
				}
			}
		}
		System.out.println(dap);
	}
}

 

※생각정리

 

결혼식 문제는 BFS로 생각하면 레벨 2, 3에 있는 노드 수만 세어서 출력하면 되는 문제이다. 최상단 상근이를 제외하고 그의 친구들을 큐에 담아서 그 큐에 들어있는 값과 이어진 노드들 까지 수를 세서 합한다.

 

기존 BFS와의 차이는 모든 노드를 담지않고 now값이 1인 노드와 연결된 값들만 큐에 담는 다는 것이다.

 

-새벽코딩-

반응형